[Linux] Tomcat 설치
ITPAPER(호쌤,쭈쌤)에 의해 작성된 ≪[Linux] Tomcat 설치≫은(는)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 4.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을 얻기 위해서는 leekh4232@gmail.com으로 문의하십시오.
![[Linux] Tomcat 설치](/attach/33-os-linux/hackers.jpg)
Tomcat은 JSP나 Spring으로 개발된 웹 사이트를 구동할 수 있는 컨테이너입니다. Tomcat을 통해 웹 사이트를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.
Tomcat 설치
다운로드
1
wget http://mirror.navercorp.com/apache/tomcat/tomcat-8/v8.5.40/bin/apache-tomcat-8.5.40.tar.gz
압축해제
1
tar zxvf apache-tomcat-8.5.40.tar.gz
경로 이동
1
mv ./apache-tomcat-8.5.40 /usr/local/tomcat8
서비스 등록
systemctl 명령을 위한 파일 생성
vi 편집기를 사용하여 /etc/systemd/system/tomcat.service
파일을 생성한다.
1
vi /etc/systemd/system/tomcat.service
생성된 파일에 다음의 내용을 작성한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[Unit]
Description=Apache Tomcat Web Application Container
After=syslog.target network.target
[Service]
Type=forking
ExecStart=/usr/local/tomcat8/bin/startup.sh
ExecStop=/usr/local/tomcat8/bin/shutdown.sh
User=root # 서비스 구동 권한을 갖는 사용자
Group=root # 서비스 구동 권한을 갖는 그룹
UMask=0007
RestartSec=10
Restart=always
[Install]
WantedBy=multi-user.target
만약 서비스 구동을 위한 별도의 사용자와 그룹을 생성한다면 다음과 같이 tomcat에 대한 소유권, 권한 설정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.
1
2
3
4
5
6
7
8
9
10
# 파일 그룹 소유권 변경
chgrp -R 그룹명 /usr/local/tomcat8
# 설정 디렉토리 퍼미션 설정
cd /usr/local/tomcat8
chmod -R g+r conf
chmod g+x conf
# 파일 소유자 변경
chown -R 사용자계정 webapps/ work/ temp/ logs/
서비스 갱신 및 구동
1
2
3
systemctl daemon-reload
systemctl start tomcat
systemctl enable tomcat
방화벽 포트포워딩
클라이언트가 80번 포트로 접속했을 때, 톰켓이 구동중인 8080포트로 포워딩 하도록 설정
1
2
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forward-port=port=80:proto=tcp:toport=8080
firewall-cmd --reload
ITPAPER(호쌤,쭈쌤)에 의해 작성된 ≪[Linux] Tomcat 설치≫은(는)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 4.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을 얻기 위해서는 leekh4232@gmail.com으로 문의하십시오.